본문 바로가기
어종정보

무늬오징어 시즌과 포인트별 낚시 철

by 수달수달김수달 2023. 7. 29.

목차

    무늬오징어 시즌과 포인트별 낚시 철

    서론

    무늬오징어 낚시는 귀하의 낚시여행에 즐거움과 도전을 선사하는 매력적인 활동입니다. 하지만 무늬오징어의 서식지와 습성을 이해하지 않으면 정확한 시즌과 포인트를 놓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무늬오징어 시즌과 각 지역별 포인트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무늬오징어라는 표현은 방언입니다. 표준어는 흰꼴뚜기입니다. 네 맞습니다. 얘 오징어가 아니라 꼴뚜기입니다. 겁나 큰 꼴뚜기!

    무늬오징어 낚시의 서식지와 시즌

    반응형

    무늬오징어는 서해와 남해 전역에서 서식하는 갑오징어와는 다르게, 주로 따뜻하고 물색이 맑은 지역에서 서식합니다. 이로 인해 무늬오징어 낚시 시즌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정확한 무늬오징어 낚시철을 언급하려면 먼저, 지평좌표계부터 고정한 뒤에 무늬오징어 시즌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즉, 어디서 낚을지, 어떤 개체를 낚을지의 기준이 정확해야 시즌을 언급할 수 있다는 얘기죠.

    그리고 무엇보다 유부남들은 와이프가 자주 보내줄 때가 무늬오징어 낚시 시즌입니다. 집에서 낚시 안 보내주는데 물 반 무늬오징어 반인들 그게 가당키나 하겠습니까? 유부남들은 무늬오징어가 연안에 붙었을 때 낚시 가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보내줄 때에 낚아야 하는 슬픈 개체들입니다. 아무튼 먼저 무늬오징어의 주요 서식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무늬오징어의 주요 서식지

    무늬오징어는 물이 맑고 따뜻한 난류가 흐르는 지역에 서식합니다. 탁하고 난류가 없는 서해권에는 무늬오징어를 낚기 어렵습니다.

    • 동해안 전역과 제주도, 남해안 일대에서 무늬오징어 낚시 가능
    • 서해권에서는 만나기가 힘들며, 따뜻하고 난류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주로 서식

    무늬오징어 낚시 시즌

    무늬오징어 에깅낚시가 국내에 처음 도입된 지역인 제주도는 1년 내내 워킹 포인트에서 무늬오징어 에깅낚시가 가능합니다.

    • 제주도: 일년 내내 무늬오징어 낚시 가능, 겨울에는 북부보다는 서귀포 일대에서 낚시
    • 남해안 동부: 5월부터 12월까지 낚시 가능
    • 남해안 서부(여수권 중심): 7월부터 낚시 시작
    • 동해 남부(영덕-부산): 6월부터 낚시 시작
    • 동해 북부(삼척-울진): 8월부터 낚시 시작

    무늬오징어 낚시 피크 시즌

    시즌이 시작됐다는 것과 잘 낚인다는 것은 별개의 개념입니다. 각 지역별로 피크시즌이 다릅니다. 남해안 워킹 포인트의 피크 철이 10월까지 정도인 이유는 겨울에 무늬오징어는 원도권의 섬으로 물러나기 때문입니다. 제주도처럼 추자도, 거문도 같은 남해의 원도권 섬에서는 제주도처럼 영등철 낚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영등철에 그런대로 무늬오징어를 낚으러 간다구요? 휴먼 미쳤음? 감생이 참돔.. 대물 낚아야지?

    • 제주도: 11월 중순부터 다음해 2월 중순까지 피크 시즌, 대물 낚시 가능
    • 남해안: 9월부터 10월 정도가 피크 시즌, 마릿수 위주의 낚시 가능

    무늬오징어의 수명과 성장과정

    무늬오징어를 포함한 두족류류들은 라이프사이클에 비해 똑똑한 편입니다. 그러나 무늬오징어의 수명은 대체로 단년생이며, 1년생인 경우 산란을 마치면 죽어버립니다. 하지만 일부 개체는 산란철에 산란을 못하고 2년까지도 살아갈 수 있으며, 대물로 자라 5kg까지 성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란 직전의 무늬오징어 개체는 가장 크며, 산란 이후에는 어린 개체들이 자라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가을에 낚는 무늬오징어는 어린 개체들이 많아서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으며, 피크 시즌인 겨울에 낚는 무늬오징어는 제법 자란 성체들이 많아 대물을 노리는 낚시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모든 개체가 훌륭히 교미를 하고 산란을 마치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들도 2차 성징왔다고 바로 교미한 적 없잖아요? 하물며 오징언데? 오징어 중에서도 오징어인 애들은 평생 교미 못할 수도 있겠죠? 무늬오징어의 수명이 1년으로 확정적으로 알려지지 않고 2년까지도 산다는 것은 교미와 산란을 하지 못한 개체들이 살아 있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런 이유로 감자 사이즈의 무늬오징어가 낚일 때 가끔 대물이 낚이는 이유는 그런 개체들이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동병상련을 느끼고 고이 회쳐서 드시기 바랍니다.

    포인트별 무늬오징어 낚시 시즌

    지역 낚시 시즌 피크 시즌 낚시 대상
    제주도 일년 내내 11월 중순 ~ 다음해 2월 중순 대물
    남해안 동부 5월 ~ 12월 9월 ~ 10월 마릿수
    남해안 서부 7월 ~ - -
    동해 남부 6월 ~ - -
    동해 북부 8월 ~ - -

    결론

    무늬오징어 낚시는 지역과 시즌에 따라 다양한 매력을 갖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일년 내내 낚시가 가능하며, 겨울에는 대물을 노리는 것이 좋습니다. 남해안 동부는 5월부터 낚시가 시작되며, 9월과 10월에 피크 시즌을 맞이하게 됩니다. 각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시즌과 포인트를 선택하여 즐거운 무늬오징어 낚시를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